일지
-
JUNGOL...53일지 2021. 3. 31. 20:21
Beginner_Coder/수학2/소수와 합성수 문제 소수(prime number)란 1보다 큰 자연수 중 1과 자기 자신 두 개만을 약수로 갖는 수를 말한다. 합성수(composite number)란 1보다 큰 자연수 중 소수가 아닌 수를 말하며 3개 이상의 약수를 갖는다. 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다. 5개의 자연수를 입력받아 소수인지 합성수인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형식 10억 이하의 자연수 5개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출력 형식 입력된 순서대로 한 줄에 한 개씩 소수이면 "prime number", 합성수이면 "composite number",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면 "number one"이라고 출력한다. 입력 예 3 10 1 55 127 출력 예 prime number..
-
JUNGOL...52일지 2021. 3. 30. 10:50
Beginner_Coder/수학2/각 자리수의 역과 합(Number Reverse) 문제 양의 정수를 입력받아 역으로 보여주고 각 자리 숫자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형식 21억 이하의 양의 정수를 입력받는다. 잘못된 데이터는 입력되지 않는다. 하나의 결과가 나온 후에도 계속 새로운 입력을 받다가 0이 입력되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최대 10개의 양의 정수가 입력될 수 있다. 출력 형식 입력받은 수의 역과 각 자리 숫자의 합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유효하지않은 "0"은 출력하지 않는다. 입력받은 수의 역도 21억 이하의 정수이다. 입력 예 453 123456 0 출력 예 354 12 654321 21 NumberReverse.h #include NumberReverse.cpp vo..
-
자료구조...71일지 2021. 3. 25. 19:20
이진 탐색 트리 삭제, 기능 메서드 구현 BinarySearchTree.cpp /// /// BinarySearchTree의 모든 노드를 제거한다. /// void BinarySearchTree::Clear() { while (m_root != nullptr) { Delete(m_root->m_data); } } /// /// BinarySearchTree에 지정된 값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 /// 검색할 값 bool BinarySearchTree::Search(int value) { if (m_root == nullptr) { return false; } Node* target{ m_root }; while (target != nullptr) { if (target->m_data == value..
-
JUNGOL...51일지 2021. 3. 24. 19:56
Beginner_Coder/도형만들기2/홀수 마방진 문제 홀수 정사각형의 크기를 입력 받은 후,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일정한 마방진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마방진이란 1부터 N*N까지의 숫자를 한 번씩만 써서 정사각형에 배치하여 가로와 세로, 그리고 대각선의 합이 같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의 순서에 따라 각 위치에 차례대로 값을 넣는다. 1. 첫 번째 숫자인 1을 넣는 위치는 첫 번째 행 가운데이다. 2. 숫자가 N의 배수이면 바로 아래의 행으로 이동하여 다음의 수를 넣고 3. 그렇지 않으면 왼쪽 위로 이동하여 다음의 숫자를 넣는다. 만약 행이 첫 번째를 벗어나면 마지막 행으로 이동하고, 열이 첫 번째를 벗어나면 마지막 열로 이동한다. 입력 형식 정사각형의 크기 n(2부터 100사이의 홀..
-
자료구조...70일지 2021. 3. 24. 19:52
이진 탐색 트리 삽입 메서드 구현 더블 포인터 구현을 싱글 포인터 구현으로 변경 BinarySearchTree.cpp /// /// /// /// 추가할 값 void BinarySearchTree::Insert(int value) { if (m_root == nullptr) { m_root = PopNode(value); return; } Node* target{ m_root }; while (target != nullptr) { if (target->m_data == value) { break; } if (target->m_data > value) { if (target->m_left == nullptr) { target->m_left = PopNode(value); m_count++; } target..
-
자료구조...69일지 2021. 3. 23. 20:48
이진 탐색 트리 삭제 메서드 구현 BinarySearchTree.cpp /// /// BinarySearchTree에서 지정된 값을 가진 노드를 제거한다. /// /// 제거할 값 void BinarySearchTree::Delete(int value) { if (m_root == nullptr) { return; } Node* target{ m_root }; Node* parent{ nullptr }; while ((target != nullptr) && (target->m_data != value)) { parent = target; if (target->m_data > value) { target = target->m_left; } else { target = target->m_right; } } ..
-
자료구조...68일지 2021. 3. 22. 18:09
이진 탐색 트리 삭제 메서드 구현 BinarySearchTree.cpp /// /// BinarySearchTree에서 지정된 값을 가진 노드를 제거한다. /// /// 제거할 값 void BinarySearchTree::Delete(int value) { Node** target{ &m_root }; Node* parent{ nullptr }; while (*target != nullptr) { if ((*target)->m_data == value) { break; } if ((*target)->m_data > value) { parent = *target; target = &((*target)->m_left); } else { parent = *target; target = &((*target)->..
-
JUNGOL...50일지 2021. 3. 17. 15:22
Beginner_Coder/도형만들기2/대각선 지그재그 문제 정사각형의 크기를 입력 받은 후 대각선으로 지그재그 형태인 다음과 같은 형태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 가장 왼쪽 위의 좌표부터 차례로 숫자를 대입시킨다. (2) 대각선을 기준으로 계속 지그재그 모양으로 채워져야 하며 숫자는 1씩 증가하는 형태로 채워나가야 한다. 입력 형식 정사각형의 크기 n(1부터 100사이의 정수)을 입력받는다. 출력 형식 위에서 언급한 형태의 지그재그 모양의 정사각형의 내부 숫자를 차례로 채운 후의 모습을 출력한다. 숫자 사이는 공백으로 구분한다. 입력 예 3 | 2 출력 예 1 3 4 | 1 3 2 5 8 | 2 4 6 7 9 | Hint! 이동 순서를 잘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이 6가지 형태..